국토부 등 관계부처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발표
정부가 조성된지 20년 이상된 산업단지를 2017년까지 순차적으로 리모델링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노후화된 시설에 대한 점검 및 교체작업이 진행되면서 산단의 안전성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4일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부는 20년 이상 노후화된 산업단지 25개 가운데 내년에 6개를 선정하고, 2015~2017년에 19개 단지를 지정해 순차적으로 리모델링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산업부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노후 산업단지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업유형을 ‘구조고도화’(17개)와 ‘재생’(8개)으로 구분할 예정이다. 구조고도화는 노후공장이나 유휴용지를 재개발해 첨단지식센터, 연구개발(R&D) 시설 등을 유치하는 것이며 재생은 최대 용적률 적용, 산업용지 비율 완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고밀복합단지형으로 리모델링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리모델링 산단에는 융·복합집적지가 조성돼 테크노파크, 디자인 지원 센터 등이 들어서며 입주가 허용되는 지식산업은 현행 연구개발업 등 13개 업종에서 무형재산권 임대업, 보안시스템 서비스업 등이 추가해 20개로 확대된다.
한편 이번 대책에는 전국 53곳의 노후된 산업단지를 재활용해 대학이나 연구시설을 유치해 R&D(연구개발)센터, 벤처기업 등과 연계하는 ‘산학연 클러스터 단지’로 조성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시설노후화에 따른 위험요소가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에는 993개의 산단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노후 산단(착공기준 20년 이상)은 102개에 불과하지만 이들 산단에 입주한 기업 수와 생산량(국가·일반 산단 기준)은 각각 전체의 80%와 88%에 달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