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 리콜 시정율 87.19%에 불과
리콜 대상임에도 별다른 조치 없이 운행을 하고 있는 차량이 18만8209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우택 의원(새누리당)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 결과, 최근 7년간 자동차 리콜 시정율이 87.19%에 불과하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정 의원에 따르면 2006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발생한 전체 리콜 대상차량 132만7737대 가운데 18만8209대가 아직 리콜을 받지 않았다. 다시 말해 국내 리콜 대상 자동차 100대 중 13대는 리콜을 받지 않고 위험에 노출된 채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 회사별 시정률은 현대자동차가 74.1%로 가장 저조했다. BMW가 83.2%, 혼다가 83.6%로 뒤를 이었다. 반면 르노삼성(98.3%), 벤츠(96.35%), 아우디(96.15%) 등은 상대적으로 시정률이 높게 나타났다.
정우택 의원은 “18만 대가 넘는 자동차들이 리콜을 받지 않은 채 운행을 한다는 것은 잠재적 사고 위험을 안고 도로를 달리고 있는 차량이 18만대라는 얘기”라며 “자동차 회사와 국토교통부가 적극적인 안내와 개도를 통해 리콜에 응하지 않는 차량 수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