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태풍으로 발생한 전주, 변압기 등 한국전력공사 공공시설물의 피해 규모가 260억5,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홍일표 의원(새누리당)이 한전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자연재해로 발생한 한전의 공공시설물 피해는 315억7,800만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82.5%에 해당하는 260억5,0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 2010년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전주 4,736기, 변압기 1,150대 등에서 총 114억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2012년의 경우 태풍 ‘볼라벤’, ‘덴빈’, ‘산바’ 등의 영향으로 113억9,000만원 규모의 피해가 났다.
한전은 자연재해에 따른 공공시설물 피해에 대한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피해액을 자체 예산으로 부담하고 있다.
홍 의원은 “전력 시설물은 국가 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안전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특히 시설물 피해와 관련해서 보험 등에도 가입하지 않아 국민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홍일표 의원(새누리당)이 한전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자연재해로 발생한 한전의 공공시설물 피해는 315억7,800만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82.5%에 해당하는 260억5,0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 2010년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전주 4,736기, 변압기 1,150대 등에서 총 114억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2012년의 경우 태풍 ‘볼라벤’, ‘덴빈’, ‘산바’ 등의 영향으로 113억9,000만원 규모의 피해가 났다.
한전은 자연재해에 따른 공공시설물 피해에 대한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피해액을 자체 예산으로 부담하고 있다.
홍 의원은 “전력 시설물은 국가 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안전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특히 시설물 피해와 관련해서 보험 등에도 가입하지 않아 국민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