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통합서비스가 지원되면서 이들의 사회복귀율이 상승하고, 복귀에 소요되는 기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결과의 중심에는 요양 초기단계부터 산재근로자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산재보험서비스를 적기에 제공하는 요양·재활전문가인 산재코디네이터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복지공단은 지난 11일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에서 산재보험 선진 3개국(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의 전문가를 초빙한 ‘산재보험 잡코디네이터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등 산재보험 선진 3개국의 제도 운영 체계를 살펴보고, 산재보험 잡코디네이터 교육·양성 시스템 등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또한 우리나라의 맞춤형 통합서비스 특징과 발전 과제 등을 모색하는 토론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참고로 공단은 2009년부터 잡코디네이터 제도를 도입해 현재 534명의 잡코디네이터를 양성·운영하고 있다. 또 지난 2011년 5월부터는 산재보험서비스 제공 체계를 재활중심의 ‘맞춤형 통합서비스’로 대폭 개편하기도 했다.
공단에 따르면 제도 도입 이후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율은 2011년 47.6%에서 2012년 52.6%, 올해(9월 기준) 55.5%로 계속 향상되고 있다. 복귀 기간도 2011년 176.3일에서 지난해 160.1일, 올해 153.5일 등으로 단축되고 있다.
이재갑 공단 이사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유럽의 성공적인 재활관리 사례와 지난 5년 간 공단의 잡코디네이터 운영 경험을 공유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공단은 산재근로자가 건강하게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잡코디네이터를 지속적으로 양성하고, 그 기능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결과의 중심에는 요양 초기단계부터 산재근로자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산재보험서비스를 적기에 제공하는 요양·재활전문가인 산재코디네이터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복지공단은 지난 11일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에서 산재보험 선진 3개국(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의 전문가를 초빙한 ‘산재보험 잡코디네이터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등 산재보험 선진 3개국의 제도 운영 체계를 살펴보고, 산재보험 잡코디네이터 교육·양성 시스템 등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또한 우리나라의 맞춤형 통합서비스 특징과 발전 과제 등을 모색하는 토론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참고로 공단은 2009년부터 잡코디네이터 제도를 도입해 현재 534명의 잡코디네이터를 양성·운영하고 있다. 또 지난 2011년 5월부터는 산재보험서비스 제공 체계를 재활중심의 ‘맞춤형 통합서비스’로 대폭 개편하기도 했다.
공단에 따르면 제도 도입 이후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율은 2011년 47.6%에서 2012년 52.6%, 올해(9월 기준) 55.5%로 계속 향상되고 있다. 복귀 기간도 2011년 176.3일에서 지난해 160.1일, 올해 153.5일 등으로 단축되고 있다.
이재갑 공단 이사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유럽의 성공적인 재활관리 사례와 지난 5년 간 공단의 잡코디네이터 운영 경험을 공유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공단은 산재근로자가 건강하게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잡코디네이터를 지속적으로 양성하고, 그 기능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