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공사, 수요자 중심의 관리인력배치 필요
LP가스(액화석유가스) 사고가 도시가스 사고에 비해 3배나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홍의락 의원(민주당)은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시설미비로 인한 LP가스 사고는 87건으로 같은 기간 도시가스 사고 27건의 3배에 달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사고 빈도로 분석하면 문제의 심각성은 더했다. LP가스 사고가 100만곳 당 14.96건으로 도시가스 100만곳 당 1.71건에 비해 8.7배나 많은 것이다.
시설미비로 인한 사고가 유독 LP가스에 많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홍 의원은 관련 법령의 미흡함과 함께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인력 배치에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현행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및 시행령’에 따르면 LP가스 수요자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이나 개선 권고는 LP가스 공급자, 즉 LP가스 판매자들이 직접하게 돼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가스안전공사에서는 각 지역본부에 인력배치를 할 때 LP가스 수요가 많은 지역 위주로 인력을 배치하지 않고 공급자가 많은 곳 위주로 인력을 배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LP가스 사용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85만7000가구), 대구경북(79만1000가구) 등의 순인데, 대구경북의 공사 인력은 경기도 공사 인력 157명의 절반 수준인 86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서울의 경우도 LP가스 사용 가구 수가 대구경북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31만2000가구인데도 LP가스 판매자들이 많이 있다보니 공사 인력은 79명이나 배치돼 있다.
홍의락 의원은 “관련 법과 가스안전공사의 잘못된 인력배치가 LP가스 사고를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키고 있다”면서 “관련 법령 정비를 통해 LP가스 사용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보다 강화하고 공급자 수 기준이 아닌 실제 사용자 수 기준으로 인력을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