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산단 안전정밀진단 실시 및 가스사고 집중관리대책 등 마련해야
산업단지의 안전관리를 놓고 해마다 되풀이 되는 지적이 올해도 어김없이 재연되고 있다. 지난 21일 국회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을 대상으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여수산단 폭발사고 등 최근 잇달아 발생한 산단 안전사고·가스사고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먼저 한국산업단지공단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홍일표 의원은 “전국 21개 산업단지 내 화재·폭발·가스누출 등의 사고로 인해 최근 5년간 사상자만 292명에 645억원 상당의 재산상의 피해를 냈다”며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을 위한 종합 방재 시스템 구축과 피해 보상을 위한 보험가입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같은 당 김한표 의원 역시 “올해 산업단지 가스누출 사고가 벌써 7건으로 지난 2009년에서 지난해까지 4년간 6건의 사례를 넘어섰다”며 “해마다 사고 피해가 대형화되고 있어 안전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노후산단의 위험성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전정희 의원은 “최근 5년간 전체 산업재해의 73.1%에 달하는 106건의 안전사고가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노후산단에서 발생했다”며 “산업부와 산단공은 노후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안전정밀진단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도화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상훈 의원은 사고 대응문제에 대해 비판했다. 사고 종류는 100여개에 이르지만 초동 대응체계는 미흡하다는 것이 핵심이다.
김 의원은 “현재 산단 내에서 안전사고가 나면 무조건 소방차부터 출동하는 후진적 방재시스템”이라며 “화학사고를 전담하는 소방대 편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대해서는 가스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새누리당 전하진 의원은 “한 해 평균 143건의 가스관련 사고 발생으로 1,000명이 넘는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전국의 LP가스 판매업소 중 1,002개(21.8%) 및 전통시장 내 LP가스 사용업소의 40.9%인 2,652개 업소가 서울 등 대도시에 위치해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는 “가스사고는 인명피해 등을 수반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유형별로 취약부분에 대한 집중관리대책을 수립해 실질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정수성 의원은 “지난2008년부터 올해 8월까지 발생한 가스사고 중 LP가스사고는 총 583건으로 전체 사고의 71.9%를 차지한다”며 “사고 발생 원인은 대부분 불법유통, 불법충전, 사용미숙 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오영식 의원도 “안전검사 대상이 아닌 시설에서 발생한 사고가 90.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가스안전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검사 대상시설을 확대 하는 등의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