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길 확산 막는 내화충전재, 성능 미달로 화재에 취약
현재 시공 중인 초고층빌딩의 대부분이 화재 등 재난발생 시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명수 의원(새누리당)은 지난 1일 국토교통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초고층빌딩 화재취약 문제를 지적하며 “시공현장에 대한 철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국토교통부에 조속한 시일 내에 대책을 수립하도록 요구했다.
이날 이명수 의원은 “서울의 초고층빌딩 공사현장을 조사한 결과 시방서는 적법, 실제 시공은 불법으로 나타났다”며 “외벽과 층간 사이를 메우는 내화충전재 즉, 선형조인트가 화재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의원은 “초고층빌딩이 화재 등 재난발생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특히 화재 시 불길이 위층으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하는 층간틈새공사(내화충전재)가 부실시공 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 이명수 의원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기연)이 서울 잠실에 건설 중인 123층 규모의 한 초고층빌딩 건설현장에 시공된 내화충전재에 대해 성능실험을 한 결과를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해당 건설현장에 시공된 내화충전재의 화재 실험결과 불과 10분 만에 숯덩이로 변했다.
이는 시공된 내화충전재의 밀도가 76kg/㎥로 시방서상 밀도 100kg/㎥ 이상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주요 초고층 건설현장에서 시방서와 다른 부실 내화충전재가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끝으로 이 의원은 “정부차원의 제도 보완 및 시스템 마련과 함께 제대로 된 제품이 선정·시공 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사 이후에도 철저하게 지속적으로 관리·감독하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