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말 도입 예정인 ‘전국호환 교통카드’ 외에도 기존 서울 교통카드인 ‘T-머니’로도 전국 버스와 지하철, 고속도로, 철도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단 ‘T-머니’는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의 협약에 따라 전국호환 교통카드 도입 후 신규 발행이 중단되며 기존 발행분도 3년 후 이용 할 수 없게 된다.
전국호환 교통카드 도입을 두고 갈등을 빚던 국토부와 서울시는 지난 12일 서울역 대회의실에서 ‘교통카드 전국호환 추진협약’을 체결했다.
참고로 국토부는 지난 6월부터 3차례에 걸쳐 전국 16개 시도 및 철도, 도로, 시외, 고속버스 부문과 협약을 체결, 전국호환 대상 지역을 확산해 왔다. 이번 서울시와의 협약을 마지막으로 전국 모든 지자체가 참여하게 된 것이다.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전국 버스, 지하철, 고속도로, 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선불 교통카드다. 국토부는 선불 교통카드로는 타 지역에서 이용할 수 없는 점과 열차표 발매가 불가능한 점 등을 개선하고자 국가표준모델을 개발해 전국 지자체와 버스, 철도 등 부문의 참여를 유도해왔다.
안석환 국토부 도시광역교통과장은 “T-머니 내구연한을 봤을 때 매몰비용이나 불편없이 자연스럽게 국가표준모델로 통합될 전망”이라며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모든 교통카드업자가 참여할 수 있어 특정 사업자가 유리하거나 불리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전국호환 교통카드 도입을 두고 갈등을 빚던 국토부와 서울시는 지난 12일 서울역 대회의실에서 ‘교통카드 전국호환 추진협약’을 체결했다.
참고로 국토부는 지난 6월부터 3차례에 걸쳐 전국 16개 시도 및 철도, 도로, 시외, 고속버스 부문과 협약을 체결, 전국호환 대상 지역을 확산해 왔다. 이번 서울시와의 협약을 마지막으로 전국 모든 지자체가 참여하게 된 것이다.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전국 버스, 지하철, 고속도로, 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선불 교통카드다. 국토부는 선불 교통카드로는 타 지역에서 이용할 수 없는 점과 열차표 발매가 불가능한 점 등을 개선하고자 국가표준모델을 개발해 전국 지자체와 버스, 철도 등 부문의 참여를 유도해왔다.
안석환 국토부 도시광역교통과장은 “T-머니 내구연한을 봤을 때 매몰비용이나 불편없이 자연스럽게 국가표준모델로 통합될 전망”이라며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모든 교통카드업자가 참여할 수 있어 특정 사업자가 유리하거나 불리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