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직장인들은 한달에 평균 70여만원을 저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최근,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20~30대 남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월급관리 및 노후대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생활비와 대출금 상환 등 고정 지출을 제외한 순수 저축을 얼마나 하는지 살펴본 결과 ‘월급의 20% 정도를 저축한다’는 의견이 22.5%로 가장 많았고, ‘월급의 10% 미만을 저축한다’는 응답자가 20.7%로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이 실제 저축하는 금액은 평균 715,216원으로 집계됐다. 결혼 유무로 구분해 보면, 미혼 직장인들이 매월 평균 719,469원을 저축한다고 답해 기혼 직장인(707,692원) 보다 조금 더 많이 저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다면 매월 70만원이 조금 넘는 돈을 저축하는 것에 대해 직장인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기혼 직장인들의 73.5%와 미혼 직장인 63.3%는 ‘충분히 저축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생각하는 것만큼 저축을 할 수 없는 이유로는 △월급 자체가 너무 적다(54.4%) △물가가 너무 비싸다(42.9%) △보험료, 통신비 등 고정 지출 비용이 많다(38.2%) △대출 및 학자금 등 갚아야 할 돈이 많다(27.2%) 등을 꼽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최근,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20~30대 남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월급관리 및 노후대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생활비와 대출금 상환 등 고정 지출을 제외한 순수 저축을 얼마나 하는지 살펴본 결과 ‘월급의 20% 정도를 저축한다’는 의견이 22.5%로 가장 많았고, ‘월급의 10% 미만을 저축한다’는 응답자가 20.7%로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이 실제 저축하는 금액은 평균 715,216원으로 집계됐다. 결혼 유무로 구분해 보면, 미혼 직장인들이 매월 평균 719,469원을 저축한다고 답해 기혼 직장인(707,692원) 보다 조금 더 많이 저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다면 매월 70만원이 조금 넘는 돈을 저축하는 것에 대해 직장인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기혼 직장인들의 73.5%와 미혼 직장인 63.3%는 ‘충분히 저축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생각하는 것만큼 저축을 할 수 없는 이유로는 △월급 자체가 너무 적다(54.4%) △물가가 너무 비싸다(42.9%) △보험료, 통신비 등 고정 지출 비용이 많다(38.2%) △대출 및 학자금 등 갚아야 할 돈이 많다(27.2%)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