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재청, 안전복지 종합대책 본격 추진

최고의 복지는 ‘안전’이라는 박근혜 정부 방침에 따라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차원의 안전지원이 대폭 강화된다.
소방방재청(청장 남상호)은 지난 18일 기초생활수급자,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외국인 등 취약계층을 각종 사고와 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재난취약계층 안전복지 종합대책’을 마련, 시행한다고 밝혔다.
방재청에 따르면 이들 취약층은 생계유지, 신체기능결함, 언어장벽 등의 문제로 인해 재난대처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방재청은 재난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고 재난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초정보와 상황대처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4대 전략 23개 과제를 마련하여 맞춤형 안전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재청은 취약계층이 주변의 노후화된 시설물로 인한 붕괴·화재 발생 등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는 점을 감안, ‘재난위험 시설물 정비 재능기부봉사단’을 구성하여 안전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 고지대, 골목길 등 소방차가 진입하기 어려워 초기 진압이 곤란한 영세밀집지역에 비상소화장치를 점진적으로 확대·보급하여 ‘주민 자율진화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둘째, 방재청은 점차 우리 사회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결혼이민자 등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의용소방대를 확대·운영하여 안전문화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방재청은 이들이 언어적 재능을 활용하여 외국인 근로자 소방안전교육, 외국인 119신고 시 통역 등 중요한 임무도 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끝으로 방재청은 유치원, 학교, 영세업체 등을 중심으로 공감형 재난안전 이론·체험교육을 강화하고, 이들이 소화기·소화전·심폐소생술을 익힐 수 있도록 힘을 쏟을 방침이다.
남상호 소방방재청장은 “안전복지 종합대책을 실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예산을 확보하는 한편, 예산확보가 어려운 경우 우선 기관, 단체, 사회적 공헌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점진적으로 극복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