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 노사정위원장 “전반적인 임금체계 손질 불가피”
각종 노동계 현안이 통상임금과 관련된 대법원의 판결이 나온 연말 이후에나 처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2일 서울 대한상의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새로운 고용체제 구축을 위한 노사정 협력’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노동계는 통상임금에 대해 대법원 판결이 나기 전까지 협의에 응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며 “일단 대법원 판결을 지켜보자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연말께로 예상되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결을 지켜본 뒤 논의를 시작하겠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도 있지만 결국에는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서 전반적인 임금체계를 손질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그는 “대법원 판결이 나온 후부터 노사정 위원회에서 임금, 근로시간 등 제도 변화를 둘러싼 문제를 다뤄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즉 대법원 판결이 나오면 ‘패키지딜’로 통상임금 문제를 비롯한 장시간 노동 관행 개선,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노동현안을 한 번에 처리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것이다.
한편 노사정위는 지난 14일 위원회 내 업종별위원회의 하나로 ‘자동차 부품 업종위원회’를 발족했다. 자동차 부품 업종위원회는 근로시간 단축을 주요 의제로 삼고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현대기아차에 이어 자동차 부품업체에까지 근로시간 단축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김 위원장은 “노사정위원회 뿐 아니라 정부도 힘을 합쳐 노사정 간 원활한 조정이 이뤄지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산업현장의 부담과 압박을 정부에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