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판, 휴대전화 SMS 등 통해 미세먼지 예보제 시행
연간 조기사망자 약 2만명, 사회적 비용 12조 3천억원 추정 우리나라 수도권의 미세먼지 농도가 선진국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개발연구원 김동영 환경연구실장은 지난 20일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원인과 대책’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수도권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저감대책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수도권 미세먼지로 인한 연간 조기사망자는 약 2만명, 폐 질환 발생자는 약 80만명에 달하고 있다. 또 이를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무려 12조 3천억원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최근 중국발 스모그로 인해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대책 마련이 더욱 시급해지고 있다. 실제로 연평균 국내 미세먼지 발생량의 30~50%가 중국에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겨울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993㎍/㎥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인 25㎍/㎥의 약 40배를 기록했다.
비슷한 기간 수도권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중국발 스모그로 인해 ‘민감군 영향’(81~120㎍/㎥)에서 지역에 따라 ‘나쁨 수준’(121~200㎍/㎥)으로 나타났다. 특히 겨울철 중국발 스모그는 자연적인 황사와 달리 난방용 무연탄과 자동차 배기가스가 주원인으로 유해물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아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수도권 지역은 면적은 전체 국토의 12%에 불과하지만 인구와 자동차는 전체의 47%가 집중돼 있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은 2005년부터 약 4조 1천억원을 투자한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특별대책’으로 최근 10여년 동안 미세먼지 농도가 최대 40%까지 감소하는 효과를 거뒀다. 그러나 이는 워싱턴, 동경, 파리 등 선진국 대도시에 비하면 여전히 2배 정도 높은 수치다.
김동영 실장은 “다양한 산업시설이 집중돼 있는 경기도는 수도권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책 외에 교외지역을 중심으로 중소사업장 배출원, 농업잔재물과 생활폐기물 등을 소각하는 생물성 연소, 농지나 도로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 관리에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 때에는 실외활동을 삼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11월부터 전광판, 휴대전화 SMS 등을 활용해 미세먼지 예보제를 시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