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약 2.8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직장인 724명을 대상으로 ‘이직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에서 드러났다.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연차 별로는 1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1.3회’로 조사됐다. 5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치는 이보다 조금 더 높은 ‘1.6회’로 집계됐다. 5년차 직장인의 경우 ‘0회’ 이직을 했다는 직장인이 29.3%로 가장 많았지만, 이직을 ‘2회’ 경험했다는 응답이 28.5%로 뒤를 이었다.
또 5년차 이상 10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2.5회’로 조사됐으며 ‘3회’ 이직을 했다는 응답자가 22.9%로 가장 많았고 ‘0회’는 18.4%로 집계됐다. 이어 15년차 미만 직장인은 평균 ‘4회’, 20년차 이상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4.5회’로 나타났다.
한편 이직사유로는 ‘연봉’(24.8%)이 1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는 ‘복지’(17.5%), ‘잦은 야근’(14.9%), ‘과도한 업무량’(14.1%), ‘희망퇴직 권고’(13.8%), ‘인간관계 트러블’(7%), ‘잦은 회식’(3.6%), ‘적성’(3.5%) 등의 순이었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직장인 724명을 대상으로 ‘이직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에서 드러났다.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연차 별로는 1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1.3회’로 조사됐다. 5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치는 이보다 조금 더 높은 ‘1.6회’로 집계됐다. 5년차 직장인의 경우 ‘0회’ 이직을 했다는 직장인이 29.3%로 가장 많았지만, 이직을 ‘2회’ 경험했다는 응답이 28.5%로 뒤를 이었다.
또 5년차 이상 10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2.5회’로 조사됐으며 ‘3회’ 이직을 했다는 응답자가 22.9%로 가장 많았고 ‘0회’는 18.4%로 집계됐다. 이어 15년차 미만 직장인은 평균 ‘4회’, 20년차 이상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4.5회’로 나타났다.
한편 이직사유로는 ‘연봉’(24.8%)이 1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는 ‘복지’(17.5%), ‘잦은 야근’(14.9%), ‘과도한 업무량’(14.1%), ‘희망퇴직 권고’(13.8%), ‘인간관계 트러블’(7%), ‘잦은 회식’(3.6%), ‘적성’(3.5%)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