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감은 ‘최하위권’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OECD 국가 중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지지감은 최하위권인 것으로 조사됐다. OECD가 최근 발간한 ‘2013 삶 보고서’(How’s Life? 2013)에 따르면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점으로 OECD 국가의 평균인 6.62점 보다 낮았다.
삶의 만족도는 지난해 갤럽이 OECD 각국에서 자신의 현재 삶이 최상(10점)과 최하(0점) 가운데 어디에 위치한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7.8점)로 나타났다. 이외 미국은 7점, 일본은 우리와 같은 6점이었다. 헝가리는 조사 대상국 중에서 4.7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한편 ‘의지할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구가 있는지’를 묻는 사회적 지지감 조사에서 한국인은 77%만이 긍정적으로 답해 OECD 국가 중 3번째로 낮았다.
또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는 15세 학생의 읽기와 수학과학 능력이 핀란드에 이어 2위를 차지했으나 근로가능인구의 읽기·쓰기·계산 능력은 평균 이하였다. 소득 등 물질적 삶의 조건에서는 OECD 국가 중 중위권이었으나 집세와 수도, 전기, 가스 등 일상적 주거에 필요한 비용지출은 전체 가처분 소득의 15.6%로 러시아(11.3%)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이외에도 한국의 1년 이상 장기 실업률은 0.01%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았다. 그러나 15~64세의 근로가능인구 고용률은 2011년 기준 63.85%로 OECD 평균인 66%보다 낮았다.
OECD는 “삶의 질적 수준에 대해 모든 차원에서 우위를 보이는 국가는 없다”며 “이번 조사를 통해 각 국의 상대적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어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