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김장문화’가 지난 5일 오후(한국시간)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열린 제8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아리랑, 강강술래, 판소리,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등 총 16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특히 무형문화유산보호 정부간위원국들은 “김장문화는 여러 세대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이웃과의 김치 나눔을 통해 공동체 간의 소통을 촉진하고 있다”고 높이 평가했다.
문화재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 김장문화 등재를 통해 품격 있는 문화국가로서의 한국의 이미지가 제고됐다”며 “김장문화가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으로서 계속 확대·전승될 수 있도록 ‘무형문화유산 보호 및 진흥에 관한 법률’제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무형문화유산보호 정부간위원국들은 “김장문화는 여러 세대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이웃과의 김치 나눔을 통해 공동체 간의 소통을 촉진하고 있다”고 높이 평가했다.
문화재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 김장문화 등재를 통해 품격 있는 문화국가로서의 한국의 이미지가 제고됐다”며 “김장문화가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으로서 계속 확대·전승될 수 있도록 ‘무형문화유산 보호 및 진흥에 관한 법률’제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