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급식·수입수산물 등 안전관리 박차
정부가 불량식품 근절을 위해 내년에는 관련 예산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국민들이 각종 식품 등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내년 관련 예산을 올해(617억원) 보다 40.3% 늘려 866억원으로 책정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정부는 269억원을 투입, 전국에 위치한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를 올해 100개에서 내년 188개로 늘려 영양사를 고용할 의무가 없는 소규모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의 급식을 안전하게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혜택을 보는 아동은 올해 50만명에서 내년 99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아울러 정부는 수입수산물 검사 차량과 시험재료를 확충하는데 올해보다 3억원이 늘어난 3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수입식품과 수입수산물의 방사능 안전관리 지원액은 올해 7억원에서 내년 13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밖에도 소형 유통업체 2,000곳에 식품 판매차단 시스템을 신규 보급하는데 6억원,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식생활 지원에 25억원, 올바른 영양성분 표시 촉진하기 위한 DB구축 등 국민영양관리에 1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지난 3월 식품안전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출범해 먹을거리 안전관리 및 불량식품 근절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 중이다. 또한 범정부 협의체인 ‘불량식품 근절 추진단’을 구성하는 한편, 관련 부처 간 정보 연계 및 대국민 정보 제공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