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교통문화지수 76.0점, 전년 대비 0.8점 상승
우리나라에서 교통안전문화가 널리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3년 교통문화지수’ 조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참고로 교통문화지수는 전국 23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국민의 교통안전 수준을 나타내는 운전행태, 보행행태 등을 조사한 결과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전국 기초단체를 인구 30만 이상과 미만 시, 군, 구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5개 영역 18개 항목에 대한 실태조사가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평균 교통문화지수는 76.0점으로 전년도(75.2점)에 비해 소폭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운전행태의 영역별 조사결과에서는 정지선 준수율, 신호 준수율, 안전띠 착용률, 방향지시등 점등률,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 등 세부 조사항목 모두 지난해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방향지시등 점등률은 2012년 58.74점에서 65.88점로 7.14점이 올라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횡단보도 신호준수율을 토대로 측정한 보행행태도 전년 85.38%보다 3.09%p 높은 88.47%를 기록했다.
경남 창원, 경기 광주 ‘교통문화수준’ 높아
한편 지자체의 도시규모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인구 30만명 이상 시(25개)에서는 경남 창원시, 30만명 미만 시(52개)에서는 경기 광주시, 군 단위(84개)에서는 경기 여주군, 구 단위(69개)에서는 인천 연수구가 교통문화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남 천안시(인구 30만명 이상 시), 전남 나주시(인구 30만명 미만 시), 전북 완주군(군 단위), 부산 강서구(구 단위)의 교통문화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운전자, 보행자 모두의 전반적인 안전의식수준이 올라가면서 교통문화지수가 전년보다 향상된 것으로 분석된다”라며 “하지만 신호준수율을 제외하고 나머지 항목 모두 60~70점대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법 준수 분위기 확산을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