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 2011년부터 운영 중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국립공원 산행정보’를 업그레이드 해 서비스하고 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국립공원 산행정보는 탐방객이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를 선택하면 이에 맞춰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국립공원을 방문할 등산객들이 산행 전에 스마트폰에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을 설치하면 다양한 산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위급 상황시 신속한 조난신고가 가능하다.
앱이 출시된 지난 2011년 11월 15일부터 지난해 12월 30일까지 총 329건의 조난사고가 앱을 통해 접수됐으며 국립공원관리공단측은 이를 통해 조난자를 구조하기도 했다.
이번에 업그레이드 된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에서는 실시간 기상정보를 연계한 서비스가 제공되며 기상 특보시에는 알림메시지 기능을 통해 탐방객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해상형 국립공원앱으로는 풍향, 풍속, 수온, 파고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 지형도, 탐방로, 공원시설, 위험지역 등 국립공원 산행정보 데이터베이스(DB)도 열람할 수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한 관계자는 “겨울산행을 즐기는 것도 좋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지 않은 산행에는 반드시 안전사고가 뒤따른다”며 “겨울 안전사고는 저체온과 동상 등이 수반될 수 있으며, 쌓인 눈으로 인해 탐방로를 구분할 수 없어 길을 잃게 되는 조난의 위험이 커서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참고로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은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누구나 무료로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국립공원 산행정보는 탐방객이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를 선택하면 이에 맞춰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국립공원을 방문할 등산객들이 산행 전에 스마트폰에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을 설치하면 다양한 산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위급 상황시 신속한 조난신고가 가능하다.
앱이 출시된 지난 2011년 11월 15일부터 지난해 12월 30일까지 총 329건의 조난사고가 앱을 통해 접수됐으며 국립공원관리공단측은 이를 통해 조난자를 구조하기도 했다.
이번에 업그레이드 된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에서는 실시간 기상정보를 연계한 서비스가 제공되며 기상 특보시에는 알림메시지 기능을 통해 탐방객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해상형 국립공원앱으로는 풍향, 풍속, 수온, 파고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 지형도, 탐방로, 공원시설, 위험지역 등 국립공원 산행정보 데이터베이스(DB)도 열람할 수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한 관계자는 “겨울산행을 즐기는 것도 좋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지 않은 산행에는 반드시 안전사고가 뒤따른다”며 “겨울 안전사고는 저체온과 동상 등이 수반될 수 있으며, 쌓인 눈으로 인해 탐방로를 구분할 수 없어 길을 잃게 되는 조난의 위험이 커서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참고로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은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누구나 무료로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