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점검 보완 등 대책 마련
서울시가 시내 공동구(共同溝)들에 대한 안전관리가 부실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공동구는 각종 전선·통신선·수도관·열수송관·가스관 등 여러 시설물을 도로 지하에 매설하기 위해 설치한 도랑을 말한다. 매립 특성상 화재가 나면 불길이 쉽게 퍼질 수 있고, 누수가 발생하면 침수 사고 등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시는 서울 시내 6개 공동구(총 32.8㎞)의 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총 86개의 문제점을 발견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목동·여의도·상암·가락·개포·상계 공동구에서 선로 처짐, 난방관 누수, 열배관 감지선 이탈, 방화재 주입 불량 등의 문제가 지적됐다. 또 여의도·목동·가락·개포 공동구는 전력선 상단에 통신선도 포함돼 화재 시 통신 피해로도 번질 수 있어 시급히 옮겨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시는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책 마련에 착수했다. 우선 시는 내부 점검을 주 1회에서 2회로 늘리고 공동구별로 누수 시 응급조치할 수 있는 밸브 키를 비치하기로 했다.
아울러 2천만원을 들여 전력구 접속부에 자동확산분말소화기를 추가 설치하고, 9억원을 들여 연소방지시설 134개도 확충하기로 했다.
이밖에 대형 누수 때 신속한 배수를 위해 배수펌프 제어반을 공동구 상부로 옮기고 공동구 관리소에서 멀리 떨어진 작업구와 환기구를 감시하기 위해 폐쇄회로(CC)TV)를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