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엠코(주)가 체계적인 안전보건경영체계를 확립하고 있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
안전보건공단은 지난 16일 현대엠코(주)에 본사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인증서와 인증패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경영방침에 안전보건을 반영하고, 모든 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보건활동과 지속적 개선노력 등을 통해 선진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한 기업에 공단이 인증하는 제도이다.
현대엠코(주)는 그동안 자율적인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신청 후 안전보건공단의 컨설팅 등을 통해 안전관리 전산시스템을 개발한 것은 물론 본사와 40여개 현장·협력사를 아우르는 안전보건 활동체계를 구축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참고로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건설업 KOSHA 18001 인증’은 공단이 인증을 처음 시작한 2001년부터 이번 현대엠코를 포함해 113개사가 인증을 취득했다. 이중 발주기관이 14개사, 일반건설업체 25개사, 전문건설업체 74개사가 인증을 취득했으며 현재 11개사가 인증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이들 인증을 받은 업체는 미인증 업체에 비해 재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 기준으로 인증을 받은 업체의 환산재해율은 0.19인 반면, 미인증 업체의 환산재해율은 0.28로 집계됐다.
백헌기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한 기업의 경우 자율안전관리체계가 시스템으로 정착되면서 재해감소 효과와 함께 기업이미지 상승, 노사관계 향상 등의 부대효과를 얻고 있다”며 “공단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전보건공단은 지난 16일 현대엠코(주)에 본사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인증서와 인증패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경영방침에 안전보건을 반영하고, 모든 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보건활동과 지속적 개선노력 등을 통해 선진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한 기업에 공단이 인증하는 제도이다.
현대엠코(주)는 그동안 자율적인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신청 후 안전보건공단의 컨설팅 등을 통해 안전관리 전산시스템을 개발한 것은 물론 본사와 40여개 현장·협력사를 아우르는 안전보건 활동체계를 구축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참고로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건설업 KOSHA 18001 인증’은 공단이 인증을 처음 시작한 2001년부터 이번 현대엠코를 포함해 113개사가 인증을 취득했다. 이중 발주기관이 14개사, 일반건설업체 25개사, 전문건설업체 74개사가 인증을 취득했으며 현재 11개사가 인증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이들 인증을 받은 업체는 미인증 업체에 비해 재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 기준으로 인증을 받은 업체의 환산재해율은 0.19인 반면, 미인증 업체의 환산재해율은 0.28로 집계됐다.
백헌기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한 기업의 경우 자율안전관리체계가 시스템으로 정착되면서 재해감소 효과와 함께 기업이미지 상승, 노사관계 향상 등의 부대효과를 얻고 있다”며 “공단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