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고용·복지 종합센터’를 전국으로 확산하고 지역 여건과 수요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6일 개소한 ‘남양주 고용·복지 종합센터’가 통합에 따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안전행정부는 남양주센터에 참여한 일자리센터와 새일센터의 방문자가 종전보다 각각 3.5배, 6배 늘어나는 등 가시적 효과가 나고 있다고 밝혔다.
참고로 고용·복지센터는 고용과 복지서비스를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지금까지는 고용 서비스와 복지 서비스가 고용센터(고용부), 일자리센터(지자체), 주민센터(지자체) 등에서 각각 제공되다 보니, 서비스가 분산되고 예산운영상 비효율이 발생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고용·복지·문화 등 지역서비스 통합 전달체계 확산계획’을 마련하고 지난 6일 정부대전청사 대강당에서 전국 시도, 시군구 고용·복지·문화 관련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했다.
또 안행부 등 관계 부처는 14일까지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지자체 10여 곳을 선정해 6월까지 종합서비스센터를 열기로 했다.
안전행정부의 한 관계자는 “2017년까지 전국에 70개소의 고용·복지 종합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다”라며 “종합센터에 대한 통합브랜드 제작을 위해 이달 중 브랜드와 CI에 대한 대국민 공모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6일 개소한 ‘남양주 고용·복지 종합센터’가 통합에 따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안전행정부는 남양주센터에 참여한 일자리센터와 새일센터의 방문자가 종전보다 각각 3.5배, 6배 늘어나는 등 가시적 효과가 나고 있다고 밝혔다.
참고로 고용·복지센터는 고용과 복지서비스를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지금까지는 고용 서비스와 복지 서비스가 고용센터(고용부), 일자리센터(지자체), 주민센터(지자체) 등에서 각각 제공되다 보니, 서비스가 분산되고 예산운영상 비효율이 발생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고용·복지·문화 등 지역서비스 통합 전달체계 확산계획’을 마련하고 지난 6일 정부대전청사 대강당에서 전국 시도, 시군구 고용·복지·문화 관련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했다.
또 안행부 등 관계 부처는 14일까지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지자체 10여 곳을 선정해 6월까지 종합서비스센터를 열기로 했다.
안전행정부의 한 관계자는 “2017년까지 전국에 70개소의 고용·복지 종합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다”라며 “종합센터에 대한 통합브랜드 제작을 위해 이달 중 브랜드와 CI에 대한 대국민 공모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