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복지제도가 좋은 직장을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직장인 및 구직자 886명을 대상으로 ‘좋은 직장의 조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5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우수한 복지제도’가 응답률 38%를 차지하며 1위로 꼽혔다.
다음으로는 ‘뚜렷한 비전’이 31.3%로 2위에 올랐고, ‘연봉’이 응답률 27.8%로 3위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곳(25.9%) △고용 안정성 보장(21.5%) △우수한 조직문화(21.5%) 등의 의견이 있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현재 재직하는 곳이 ‘좋은 직장’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 설문 결과, 직장인 10명 중 6명에 해당하는 67.4%는 ‘재직 중인 곳은 좋은 직장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좋은 직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연봉이 낮아서’가 응답률 37.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복지제도’가 미흡해서(31.6%)가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업무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다(27.2%)’거나 ‘야근 및 특근이 잦아서(23.2%)’ 좋은 직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직장인도 있었다. 다음으로 ‘우수한 복지제도’가 20.4%로 2위에 올랐고 ‘회사의 뚜렷한 비전’(16.4%),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곳’(13.5%), ‘우수한 조직문화’(9.4%) 등의 의견이 그 뒤를 이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직장인 및 구직자 886명을 대상으로 ‘좋은 직장의 조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5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우수한 복지제도’가 응답률 38%를 차지하며 1위로 꼽혔다.
다음으로는 ‘뚜렷한 비전’이 31.3%로 2위에 올랐고, ‘연봉’이 응답률 27.8%로 3위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곳(25.9%) △고용 안정성 보장(21.5%) △우수한 조직문화(21.5%) 등의 의견이 있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현재 재직하는 곳이 ‘좋은 직장’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 설문 결과, 직장인 10명 중 6명에 해당하는 67.4%는 ‘재직 중인 곳은 좋은 직장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좋은 직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연봉이 낮아서’가 응답률 37.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복지제도’가 미흡해서(31.6%)가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업무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다(27.2%)’거나 ‘야근 및 특근이 잦아서(23.2%)’ 좋은 직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직장인도 있었다. 다음으로 ‘우수한 복지제도’가 20.4%로 2위에 올랐고 ‘회사의 뚜렷한 비전’(16.4%),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곳’(13.5%), ‘우수한 조직문화’(9.4%) 등의 의견이 그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