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연구실 안전관리 현황 분석 결과’ 발표
64개 기관 최우수 등급 획득 국내 연구실의 안전수준이 상당히 높아졌다는 점검 결과가 나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해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부설연구소 등 211개 기관에 대해 실시한 ‘연구실 안전관리 현황 지도·점검 분석 결과’를 지난 1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점검대상의 약 83.4%인 176개 기관이 80점 이상을 얻어, 전반적으로 국내 연구기관의 안전관리 수준이 매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미래부는 그동안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하 ‘연안법’)에 대한 계도 및 홍보활동에 적극 나선 점이 효과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분석결과를 상세히 살펴보면, 조사 대상의 28.4%인 64개 기관은 평균 95점 이상을 얻어 연구실 안전관리 최상위 그룹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전체 점검기관의 8.5%인 18개 기관은 70점 미만의 점수를 얻어 안전관리에 적잖은 부실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점검에서 안전관리 상의 가장 큰 미흡한 점으로는 안전교육이 지목됐다. 연구자들의 사소한 부주의 및 안전수칙 미준수가 연구실 안전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음에도, ‘안전교육 실시 미흡’이 전체 지적사항(1,520건)의 27.4%(417건)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안전조직체계 미흡(24.2%, 368건) △보험가입·건강검진·안전예산 확보 미흡(21.2%, 322건) △안전점검 미실시(20%, 305건) △비상연락망 구축 등 긴급대처방안 미흡(7.1%, 108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화학안전 분야 가장 미흡
미래부는 이번 점검에서 기관차원의 안전관리활동 평가와 더불어 화학, 전기, 소방, 생물, 가스, 기계안전 등 6개 분야 46개 항목에 대한 연구실 차원의 세부 안전관리 현황 점검도 병행했다.
그 결과, 전체 지적건수는 총 3,226건이 나왔다. 화학안전 분야가 1,270건(39.4%)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는 전기안전 798건(24.7%), 가스안전 496건(15.4%), 소방안전 401건(12.4%), 기계안전 212건(6.6%), 그리고 생물안전 49건(1.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학안전 분야에서는 시약별 명칭 표시 미부착, 물질별 안전보건정보(MSDS) 미비치, 비상세척설비 미설치 등이 많은 지적을 받았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연구실 취급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가운데 유해물질에 대한 이력관리 기법 및 유해도 예측·관리 평가기준 마련 등 연구자 보호를 위한 다양한 관리기법을 개발·보급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연구현장 전반의 안전관리 수준 향상을 위한 지도·점검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가장 미흡한 부분으로 지적된 연구자에 대한 안전교육 강화를 위해 과태료 처분 도입 등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래부는 내년부터 현장점검 결과 기관별 안전관리 실태점수 70점 미만의 부진기관에 대해서는 기관 실명을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