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도로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6% 감소
지난해 도로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6% 감소
  • 연슬기 기자
  • 승인 2014.02.19
  • 호수 23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졸음쉼터 확충 등 수요자 중심의 안전대책 효과
지난해 도로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전년보다 6% 감소한 것은 물론 부상자와 사고 건수도 줄어드는 등 교통안전 수준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는 새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지난해의 교통 분야 주요정책 추진성과로 ‘도로교통사고 사망자수 대폭 감소’, ‘자동차 이력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정비용 부품 인증제 도입’, ‘신규 제작 자동차의 실내 공기질 관리’ 등을 꼽았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먼저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도로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전년대비 6% 감소(5392명→5080명)하고 부상자와 사고건수도 각각 5%와 3% 감소했다.

이는 2017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30% 감소를 목표로 ‘교통사고 사상자 줄이기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수요자 중심의 안전대책을 추진한 결과로 평가된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예로 졸음쉼터의 설치 확대를 손꼽을 수 있다. 졸음쉼터 설치구간의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지난해 68명으로 전년(107명)보다 36% 감소하는 등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현재 143곳의 졸음쉼터를 오는 2017년까지 220곳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교통량이 많으나 휴게시설이 부족한 25개 구간(고속도로 20개 구간, 국도 5개 구간)에 졸음쉼터를 신규 설치하고, 운영중인 졸음쉼터에는 화장실과 안전시설 등을 확충하기로 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2017년까지 졸음쉼터를 총 220개소로 확대해 고속주행시 졸음운전으로 인한 대피시간을 10분 이내로 낮추는 등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교통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자동차 안전성 제고에도 만전을 기했다. 자동차 부품의 결함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완성차에만 적용하던 인증제도를 지난해 5월부터 정비용 부품까지 확대 시행한 것이다.

특히 버스와 법인택시에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장착하도록 하는 등 안전관리를 강화해 사망자수가 약 47% 감소했으며, 사업용 대형버스와 화물차를 대상으로 첨단안전장치 장착지원 사업을 실시해 사업용 차량에 의한 대형 교통사고를 예방해 나갔다.

아울러 자동차의 사고·정비·검사이력·주행거리 등을 인터넷과 스마트폰 앱(www.ecar.go.kr)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침수·사고여부, 주행거리 조작 등을 확인할 수 없어 발생하는 피해를 사전에 예방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신규제작 자동차의 실내공기질을 조사할 수 있도록 법적근거를 마련해 세계 최초로 정부차원의 조사결과를 공표했다. 또 국내 승용차에만 적용되던 기준을 승합·화물 자동차는 물론 수입승용차까지 확대 적용하도록 하고, 관리대상 유해물질 기준도 강화해 나갔다.

박종흠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은 “국민에 불편을 주는 규제는 안전에 문제가 없는 범위에서 완화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올해에는 자동차 부품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원로 70 (대한산업안전협회 회관) 대한산업안전협회 빌딩
  • 대표전화 : 070-4922-2940
  • 전자팩스 : 0507-351-7052
  • 명칭 : 안전저널
  • 제호 : 안전저널
  • 등록번호 : 서울다08217(주간)
  • 등록일 : 2009-03-10
  • 발행일 : 2009-05-06
  • 발행인 : 박종선
  • 편집인 : 박종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보현
  • 안전저널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본지는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 Copyright © 2025 안전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bhkim@safety.or.kr
ISSN 2636-0497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