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8.1% 인상 vs 한국경총 2.3% 이내
올해 임금 상승률을 놓고 노와 사가 뚜렷한 견해차를 보였다. 먼저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하 한국노총)은 2014년도 임금인상 요구율을 8.1%로 결정했다. 한국노총은 지난 13일 오후 제47차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확정했다.
이번 임금인상요구율은 지난 1월 발표한 2014년 표준생계비와 물가상승률 전망치 등을 토대로 산출된 것이다.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는 “근로소득으로 충족돼야 할 생계비에 도달하려면 임금을 38.6% 올려야 하나 경제상황 등 현실을 고려해 8.1% 인상하는 선에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서는 “경제가 재도약하려면 소비여력 회복이 시급하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임금 근로자의 소득 향상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노총은 비정규직의 임금인상 요구율은 정규직의 2배가 조금 넘는 17.8%로 확정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를 좁혀가기 위한 조치다.
이외에도 최저임금 요구액은 전체 근로자의 정액임금 평균(256만6000원)의 50% 수준인 128만3000원 확보를 목표로 정했다. 이를 시급으로 따지면 6139원에 해당된다.
경총, 노사 제도변화 반영해야
한편 이희범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 회장은 올해 기업의 적정 임금상승률을 2.3% 이내로 제시했다.
이 회장은 지난 12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제37회 전국 최고경영자 연찬회에서 “국민경제생산성 증가율에 근거해 임금조정율을 2.3% 범위 내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경총이 이날 제시한 임금조정율은 국민경제생산성 3.6%에서 정기 승급분 1.3%를 제한 나머지 2.3%다.
이 회장은 “통상임금 범위 확대, 정년연장,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시장의 제도가 변화되는 만큼 임금상승률이 2.3%를 초과하는 기업은 올해 임금을 동결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은 또 2016년부터 시행되는 60세 정년 의무화와 관련해 ‘경총 임금피크제 모델’을 소개하며 “임금체계 개편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단기적으로는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현재의 연공형 임금체계를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개편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