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 예방 위해 조심기간 연장 운영
국토와 국민의 삶에 큰 피해를 가져다주는 산불과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산림청이 올 한 해 동안 총력적인 대응태세에 돌입한다. 산림청은 지난 24일 시흥 비즈니스센터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2014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산림청은 올해 추진할 핵심과제 중 하나로 산림재해 예방을 제시했다.
우면산 산사태와 포항·울주 산불 등에서 확인됐듯,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산림에서 산불, 산사태 등 재해가 발생할 경우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그 설명이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안심국토를 실현하고 국민의 삶터를 안전하게 지키는 것이야 말로 산림청의 핵심과제”라며 “임업인과 국민들이 우리 숲에서 더 큰 행복을 체감할 수 있도록 이번에 보고된 정책과제를 확실히 추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위험시기별 맞춤형 특별대책 실시
올해 봄철은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방선거 등 국책행사가 많아 산불에 대한 경각심이 이완될 것이란 우려가 상당하다. 이에 산림청은 봄철 산불을 철저히 예방하기 위해 산불조심기간을 기존(2월 1일~5월 15일) 보다 약 한달 정도 연장(6월8일까지) 운영한다.
또 산림청은 위험시기별로 맞춤형 특별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산불발생의 가장 큰 원인인 무단소각을 차단하기 위하여 3~4월 기간 중 소각금지기간을 설정하여 철저히 계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업그레이드한 산불상황 관제시스템을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산불감시인력(2만3000명), 산림헬기(42대) 등 산불예방ㆍ진화자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도모한다.
아울러 산림청은 산사태 예방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먼저 여름철 우기에 발생 위험이 높은 산사태의 사전예방을 위해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산사태 예방을 위한 사방댐 조성 사업은 생활권을 중심으로 올해 더욱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는 785개소에 사방댐을 조성했는데, 올해는 약 100개 정도가 늘어난 899개소에 사방댐을 조성한다. 이밖에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개선해 실시간 예측정보의 정확도도 더욱 높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