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선박 충돌로 인한 기름유출사고 발생
지난달 22일 미국 올리언스와 베이턴 루즈 사이의 미시시피 강에서 바지선과 견인선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기름이 유출돼 총 105㎞에 달하는 수상 교통이 잠정 폐쇄됐으며, 이 강을 상수도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근 세인트 찰스 교구 일대의 수도물ㅍ 취수가 예방 차원에서 중단됐다.
다행히 부상자는 없으며 바지선도 모두 안전한 상태로 알려졌다. 미국 해양경비대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경유 원유를 실은 두 척의 바지선 중 한 척이 견인선에 끌려가던 중 곡물 바지선을 예인 중이던 다른 예인선과 부딪치면서 발생했다.
英 IOSH, 사무직 근로자 건강 우려 표명
영국 산업안전보건협회(IOSH)는 최근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상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근로자들은 하루 평균 5시간 가량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근무일수로 환산하면 55%로, 1주일에 24시간, 1년에 45일 수준이다.
이에 대해 IOSH는 통근, 수면, 식사시간 등을 고려하면 영국 정부가 권장하는 1주일 2.5시간 이상의 운동을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라며 근로자들의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번 연구 대상자 중 31% 만이 체질량지수 기준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절반이 넘는 52%는 체중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고소작업 안전을 위한 교육기준 도입
캐나다 온타리오 노동부(Ontario Ministry of Labor)가 고소작업 재해예방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최근 OML은 고소작업 안전을 위한 교육 기준을 도입, 전 업종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OML에 따르면 고소작업 안전교육기준은 현재 건설업에만 적용되며, 의무사항도 아니다.
하지만 올해 여름이면 의무화와 함께 모든 업계로 확대될 예정이다. OML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도입된 기준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은 근로자가 추락위험 및 안전 행동에 대한 지식을 갖출 수 있게 도울 것”이라며 “해당 기준은 고소작업 중인 근로자를 위한 의무 교육을 개발하라는 전문가의 권고사항을 반영한 조치”라고 말했다.
<출처:안전보건공단>
지난달 22일 미국 올리언스와 베이턴 루즈 사이의 미시시피 강에서 바지선과 견인선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기름이 유출돼 총 105㎞에 달하는 수상 교통이 잠정 폐쇄됐으며, 이 강을 상수도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근 세인트 찰스 교구 일대의 수도물ㅍ 취수가 예방 차원에서 중단됐다.
다행히 부상자는 없으며 바지선도 모두 안전한 상태로 알려졌다. 미국 해양경비대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경유 원유를 실은 두 척의 바지선 중 한 척이 견인선에 끌려가던 중 곡물 바지선을 예인 중이던 다른 예인선과 부딪치면서 발생했다.
英 IOSH, 사무직 근로자 건강 우려 표명
영국 산업안전보건협회(IOSH)는 최근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상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근로자들은 하루 평균 5시간 가량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근무일수로 환산하면 55%로, 1주일에 24시간, 1년에 45일 수준이다.
이에 대해 IOSH는 통근, 수면, 식사시간 등을 고려하면 영국 정부가 권장하는 1주일 2.5시간 이상의 운동을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라며 근로자들의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번 연구 대상자 중 31% 만이 체질량지수 기준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절반이 넘는 52%는 체중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고소작업 안전을 위한 교육기준 도입
캐나다 온타리오 노동부(Ontario Ministry of Labor)가 고소작업 재해예방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최근 OML은 고소작업 안전을 위한 교육 기준을 도입, 전 업종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OML에 따르면 고소작업 안전교육기준은 현재 건설업에만 적용되며, 의무사항도 아니다.
하지만 올해 여름이면 의무화와 함께 모든 업계로 확대될 예정이다. OML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도입된 기준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은 근로자가 추락위험 및 안전 행동에 대한 지식을 갖출 수 있게 도울 것”이라며 “해당 기준은 고소작업 중인 근로자를 위한 의무 교육을 개발하라는 전문가의 권고사항을 반영한 조치”라고 말했다.
<출처:안전보건공단>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