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시 유해가스 발생 비중 매우 높아
최근 캠핑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형 기름난로 가운데 상당수가 불이 꺼지지 않거나 연소할 때 유해가스가 매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는 15개 업체의 소형 기름난로를 대상으로 안전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최근 밝혔다. 이에 따르면 15개 제품 가운데 12개(80%) 제품이 넘어졌을 때 소화가 되지 않거나 연소 시 유해가스 발생 비중이 높아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항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난로가 넘어졌을 때 주변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자동 소화가 되는지를 확인하는 전도 소화시험에서는 8개(53.3%) 제품이 자동으로 소화되지 않아 화재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산업규격(KS) 기준에 따르면 난로가 넘어졌을 때 10초 이내에 자동으로 소화되어야 한다. 시험대상 제품 가운데 KS 인증을 취득한 제품은 없었다.
이런 취약한 화재안전성은 제품사고와도 직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최근 3년간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기름난로 관련 위해사례 23건 중 20건(87%)이 화재·화상사고로 드러났다.
또 제품이 연소될 때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측정하는 유해가스 발생 정도 시험에서는 11개(73.3%) 제품이 KS 기준(0.002 이하)을 초과했다. 특히 일부 제품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발생 비율이 기준보다 31배(0.062)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주로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기름난로의 특성상 일산화탄소 배기량이 많이 발생하면 두통을 유발하거나 심한 경우 질식사의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제품을 구매할 땐 안전장치가 장착돼 있는지를 확인하고 사용 중에는 1시간에 한 두차례 환기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소비자원은 관계기관에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토록 요청하고 문제가 드러난 제품들에 대해서는 자발적으로 시정하도록 해당업체에 권고했다. 하지만 위험성이 높은 5개 업체에 대해서는 문제의 모델을 즉시 판매 중단토록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