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개발형 새일센터 운영 예정
정부와 산업계가 육아 부담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 연구 인력의 중소·중견기업 재취업 기회가 늘어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 여성가족부는 지난 7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유관기관과 산업계가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 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11월 정부가 발표한 ‘산업현장의 여성 R&D인력 확충방안’의 세부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육아 부담을 지고 있는 여성 연구 인력의 경력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중소·중견기업 재취업 지원 시범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4월부터는 과학기술전공 여성 인력을 대상으로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경력개발형 새일센터’를 지정,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해는 중소·중견 기업이 경력복귀 지원사업에 지원한 여성 500명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 정부는 여성 R&D 인력의 시간선택제 근무를 유도하고 육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시간선택제 근무를 하고 있는 중소·중견기업 여성 연구 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원을 위해 관련 규정을 개정하기로 한 것이다. 또 시간선택제 근무자의 대체 인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 중 5000여명 규모의 인력 풀(pool)과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6월 중 테크노파크와 산업단지 등에 자리잡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실시한 뒤 단계적으로 어린이집 설치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원자력의학원(3월), 원자력연구원(2015년), 항공우주연구원(2015년)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보육시설도 증축하거나 신설해 인근 기업 근무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산업현장에서 여성 R&D 인력 수요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도 나왔다. 정부는 여성 연구원의 참여 비중이 높은 기업에 대한 R&D 점수를 2점에서 5점으로 올리고, ‘국민편익증진 기술개발’ 등 일부 R&D 사업 참여 기준을 여성 연구원이 일정 비율 이상인 기관으로 제한할 예정이다.
여성연구원의 참여가 낮은 기업에 대해서는 여성 인력 활용계획서 제출을 요구하고,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대상 기업 선정 시 ‘가족친화인증기업’에 대한 가산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인 최초 우주비행사 최종 후보로 선정됐던 고산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와 김수옥 진매트릭스 회장, 김현주 IT여성기업인협회 회장 등 10명을 여성R&D 인력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