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국가인권위에 진정서 제출

전국건설노조가 전기근로자의 안전확보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정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건설노조는 지난 13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용노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공사가 전기원 근로자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권고해 달라”면서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전기원은 고압선 공사 등을 하는 근로자를 지칭한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전국 송배전 현장에서는 무려 617명의 전기근로자들이 재해를 입었다.
사고의 원인으로는 열악한 작업환경과 부실한 안전보건 지원이 지목되고 있다.
실제 건설노조가 2012년 전기원을 대상으로 작업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대다수가 안전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작업인력 부족 ▲무리한 공사 ▲불안전한 작업환경 ▲무정전 작업 ▲보호구 미착용 등을 꼽았다.
사고 발생시 주된 작업은 직접 배전활선 작업 중에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뒤는 사선작업, 무정전 공법, 간접 배전활선 순이었다.
또 사고 발생시 업무는 전주 작업 중 사고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COS 작업 ▲점퍼선 연결 작업 ▲바이패스 작업 ▲인하선 연결 작업 등의 순으로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사고 발생 형태는 감전 사고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추락, 화재·폭발 순이었다.
건설노조의 한 관계자는 “‘적정보유 기능인력 미투입’과 ‘위험한 직접활선작업 공법’이 배전현장 사고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전기원 근로자들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가의 기간산업인 전력산업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전기원 근로자들이 2만2900볼트 전주에 매달려 목숨을 걸고 노동을 하고 있지만 우리사회가 이들에 대한 소중함을 몰라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전기 작업의 위험성 때문에 신규인력 기피현상이 발생하여 점점 고령 작업자가 늘어나고 있고 기능인력 부족으로 전력산업 자체가 붕괴 위험에 놓여 있다”라며 “국가인권위와 정부가 이들의 보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