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에 각종 안전수칙과 기준들이 현장에서 준수될 수 있도록 관리를 철저히 하라고 지시했다.
정 총리는 지난 13일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4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서 정 총리는 “안전불감증에 기인한 무리한 작업과 관리 소홀 등으로 산업재해가 여전히 다발하고 있다”라며 “근본적 치유가 가능한 대책을 수립·시행함으로써 확실한 재발방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정 총리는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건설재해 예방대책’과 관련해서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정 총리는 “대형사고가 발생한 건설업체에 대해서는 본사와 건설현장들을 특별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무지와 망각, 무시 등 안전의식 결여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고용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는 이번 대책에 따른 안전기준과 수칙이 현장에서 준수될 수 있도록 사전교육과 점검 등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정 총리는 지난 13일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4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서 정 총리는 “안전불감증에 기인한 무리한 작업과 관리 소홀 등으로 산업재해가 여전히 다발하고 있다”라며 “근본적 치유가 가능한 대책을 수립·시행함으로써 확실한 재발방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정 총리는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건설재해 예방대책’과 관련해서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정 총리는 “대형사고가 발생한 건설업체에 대해서는 본사와 건설현장들을 특별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무지와 망각, 무시 등 안전의식 결여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고용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는 이번 대책에 따른 안전기준과 수칙이 현장에서 준수될 수 있도록 사전교육과 점검 등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